본문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사이트이용안내 바로가기


인터뷰‧기고

함께하는 행복한 세상으로 만들어 가겠습니다.

인쇄 QR코드 보기
인터뷰‧기고 게시판으로 제목,작성자,등록일,글내용 안내표입니다.
제목 [전남CBS,라디오] 사람을 살리는 말 한마디
작성자 전남여성가족재단 크리머스 등록일 2021-08-18

2021- 08- 18(수) 전남CBS, <시사의 창, 임종훈입니다> '오늘의 세상읽기'

전남여성가족재단 안경주 원장 컬럼

FM 102.1MHz(순천 89.5MHz), 모바일-CBS레인보우 애플리케이션 이용(전남CBS 설정)




[사람을 살리는 말 한마디]



❏ 우연히 방송을 보다가 올해로 102세인 김형석 교수께서 들려주는 이야기가 건조해진 제 마음에 와닿았습니다. 김형석 교수는 대학 교수로 오랫동안 일해왔고 그러다 보니 많은 동료 교수들의 삶을 지켜보셨겠지요. 자기 자신을 위해서 사는 사람들, 자신의 소유, 명예, 권력을 위해 사는 사람들은 대학을 퇴직함과 동시에 대학이 그들을 잊었다고 했습니다. 그러나 국가와 사회를 위해, 공동체를 위한 가치로 삶을 살아온 교수들은 사회와 공동체가 그들을 기억하며 그 사회적 생명이 계속된다고 말씀합니다.


❏ 국가와 사회, 공동체가 어떻게 성장할 것인가를 고민하는 사람들은 그 성장하는 국가, 사회, 공동체와 함께 성장한다고 합니다. 올바른 가치를 가지고 공동체의 성장을 도모하다 보면 그 공동체 안에 소속된 자들도 함께 성장해간다는 것이지요. 그만큼 개인의 성장이 사회와 공동체의 성장과 긴밀히 연결되어 있습니다. 우리가 속한 가장 일차적 공동체인 가정을 생각해봐도 너무나 쉽게 이해가 갑니다. 날마다 부모가 말과 눈빛으로 서로를 무시하고 육체적으로 학대하며 폭력을 행사하는 경우, 그 안에서 사는 성인과 아이들이 날마다 얼마나 피폐해갈지는 가히 상상하고도 남습니다. 울분, 분노, 마음의 상처, 인간관계에 대한 불신, 무엇보다도 마음 속 깊은 허전함이나 고독감 등이 밀려오겠지요. 한 사람이 상하는 것으로 끝나지 않습니다. 


❏ 학교 동료들을 때리고 집단으로 괴롭히며 늘상 봐왔던 폭력의 현장에 이제는 주인공으로 등장하기도 합니다. 폭력이 일상화됩니다. 존중받아 본 적이 없었기 때문에 상대방을 어떻게 존중하는지 알지 못합니다. 존중도 사랑도, 격려도 받아보지 못한 사람들, 가정에서 받았던 많은 상처가 응어리져 다른 형태로 폭발할 출구를 찾습니다. 그리고 자기보다 약해보이는 곳에 쏟아내기 시작합니다. 학교폭력, 가정폭력, 아동폭력과 학대... 모두다 닮아 있습니다. 어떻게 이러한 폭력의 연쇄 고리를 끊어낼 수 있을까요. 여러 가지 방법이 있겠지만, 말하는 방식의 변화를 권해봅니다. 


가끔 데일 카네기의 [인간관계론]에 나오는 에피소드들을 읽을 때가 있습니다. 간단한 이야기이지만 매우 명쾌한 생각의 전환을 하게 하거든요. 그의 책 중 ‘당신만은 그의 ’공기펌프‘가 되어 주어라’라는 대목에 어떤 부인에 관한 이야기가 나옵니다. 어느 날 보험회사 세일즈맨으로 채용된 남편은 ‘보험업계를 평정해보자’는 엄청난 자신감으로 일을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일은 생각만큼 쉽지 않았어요. 고객들은 마지막에 계약을 맺으려는 순간 갑자기 변덕을 부리곤 했습니다. 아무리 노력해도 계약 한 건 맺기가 힘들었습니다. 당연히 낙담하고 절망했겠지요. 그때마다 그 부인은 ‘걱정 말아요, 그저 잠깐 지나가는 시련일 뿐이에요. 반드시 성공할 거예요. 당신은 타고난 세일즈맨이니까요’라고 했습니다. 다시 힘을 얻은 남편은 다시 시도했고.또 좌절하고를 반복하는 동안.. 부인도 끊임없이 ‘당신은 스스로의 재능을 모르고 있을 뿐이에요, 절대 그 능력을 버리지 않길 바래요’ 라는 격려를 아끼지 않았습니다. 끝까지 믿어주고 격려한 것입니다. 결과는 어떻게 되었을까요? 네, 당연히 어느 정도 궤도에 올라서 일을 하게 되었지요. 


❏ 남편과 자식, 부인의 부족한 점에 대해서는 그의 냉정한 상사가, 교사가, 냉정한 타인이 신랄하게 알려줄 겁니다. 그러나 가장 가까이 있는 사람들은 격려를 해주어야 할 의무와 권리가 있지요. 실패하는 자식에게 ‘네가 그럴 줄 알았다, 네가 하는 일이 늘 그 모양이지’라고 말하는 대신 식탁에서 건 거실에서건 반드시 ‘잘 할 수 있다’는 격려와 지지를 보낸다면 관계가 어떻게 될까? 국가와 사회, 그리고 공동체를 살리는 ‘말 한마디’로 우리 가정, 우리 공동체의 생태계가 바뀔 수 있습니다. 말은 생명이 있습니다. 말이 씨가 됩니다. 말씀이 생명을 살리는 씨가 됩니다. ‘결국엔 실패하게 될 거야’라고 말하는 사람에게는 조만간 실패가... 그리고 넌 반드시 잘 될 거야라고 힘을 실어주는 부모님 앞에는 건강하게 성장한 자녀들이 있게 될 것입니다. 폭력 대신 사람을 살리는 말 한마디... 우리 가정과 공동체를 살리는 첫걸음입니다.